적당한 아기의 낮잠 시간과 횟수는?
아기들은 잠을 생각보다 많이 잡니다. 낮잠 시간과 낮잠 횟수가 돌이 가까워질수록 줄어들긴 합니다. 신생아 때는 거의 잠만 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 번에 깨어 있는 횟수가 1~2시간밖에 되지 않습니다. 모든 아기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은 6개월이 지나가면 낮잠 횟수가 2~3번으로 줄게 됩니다. 돌에 가까워질수록 낮잠시간은 줄어들고 밤잠 자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18개월 정도가 되면 낮잠 횟수는 1회로 정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돌 정도의 아기를 기준으로 본다면 밤잠과 낮잠을 합한 시간은 13시간 정도입니다. 낮잠은 2시간을 넘기지 않아야 밤잠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가이드라인이 있다고 해서 강박적으로 여기에 맞추실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아기 고유의 바이오리듬에 맞춰서 자연스럽게 재우고 깨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들은 성장해감에 따라 생체리듬이 얼마나 자고 얼마나 일어나야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부모는 아기의 잠 신호를 잘 파악해서 잘 잘 수 있게 잠 환경을 만들어주고, 깊이 잘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100일 전부터 수면교육을 시켰습니다. 낮잠 횟수가 4번에서 3번으로 10개월인 현재 2번으로 줄어들었네요. 보통 100일의 기적이라고 하여 밤에 통잠을 자게 되는 시기를 100일로 잡게 되는데요. 저의 경우는 100일에 기적이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대략 7개월쯤부터 통잠을 자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잘 자는 편이긴 하지만, 아직도 잠이 들고 초반 1~2번은 깨서 엄마를 찾습니다. 살짝 안았다가 내려놓거나, 토닥토닥해주면 다시 잠이듭니다. 매 개월마다 가이드라인을 보며 그 기준에 맞추어 아기를 재우려고 했지만, 책처럼 딱딱 떨어지진 않더군요. 뭐든 아기의 리듬에 맞게 자연스럽게 기다려주자가 핵심 포인트입니다. 대략적으로 돌이 되면 정말 잠이 좋아지고, 아무리 잠이 없거나 잠 리듬을 맞추기 힘든 아이도 잠이 안정화되기까지 두 돌은 넘지 않습니다.
낮잠을 잘 재우는 비결이 있나요?
낮잠을 잘 때 생활소음이나 빛 등을 그대로 노출해야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너무 조용하게 지내면 아기가 예민해진다고 말이죠. 하지만 어른도 너무 시끄러운 곳에서 잠이 잘 오지 않듯이, 아기들도 잠을 잘 때는 빛을 차단해주고 너무 큰 소음은 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암막커튼 등을 이용하여 방을 어둡게 해 주고 항상 같은 곳에서 재우는 습관을 들여주세요. 백색소음도 도움이 됩니다. 어두운 공간과 백색소음이 들린다면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아기들도 지금은 잘 시간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쉽게 잠으로 빠져듭니다. 그리고 밤잠 때 수면 의식을 해주는 것이 있다면 낮잠 때는 간략하게 수면 의식을 진행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수면 의식이라고 해서 거창한 것이 아니라, 활동적인 놀이는 피해 주고, 자극을 서서히 줄이며 잠자는 분위기로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나긋나긋한 책을 읽어주시거나, 팔다리를 부드럽게 마사지해주며 긴장을 풀어주세요. 아기가 좋아하는 애착 인형 등이 있다면 쥐어주며 안정을 취하게 해 주세요. 이러한 수면 의식은 아기가 잠들기 30분 전부터 해주시면 좋습니다. 너무 과격한 놀이나, 영상매체, 낯선 사람 등의 자극은 신경을 더욱 흥분시켜 잠으로 가기 어렵게 만듭니다. 아기가 아직 잠을 잘 자려하지 않는다고 해도,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서 잠자는 분위기를 느끼게 해 주세요. 양육자가 옆에 같이 누워서 잠자는 시늉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알아두면 좋은 내용
- 낮잠을 재우지 않는다면, 낮잠으로 체력이 보충되지 않아서 아기가 너무 피곤하게 됩니다. 이러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너무 증가하여 밤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꼭 재워주셔야 합니다. 낮잠과 밤잠은 별개이기에 밤에 많이 잔다고 해서 피로가 풀리지 않습니다.
- 6~12개월 정도 되면 낮잠은 2~3시 이후에는 되도록 재우지 않는편이 좋습니다. 그 이후에 자게 되면 밤잠이 너무 늦어지기도 하고, 밤에 잠드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낮잠을 항상 일정한 시간에 재우도록 노력해보세요.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일과로 아기의 스케줄을 잡아주시면 아기도 스스로 그 시간에 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기들은 규칙적인 패턴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마음처럼 잘 안되긴 합니다. 저도 정말 잠을 잘 재우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지만 매일매일 규칙적으로 같은 스케줄을 만드는 게 쉽지는 않네요)
- 1회 낮잠을 너무 오래 잔다면 (2~3시간) 깨우는 것이 좋습니다. 낮시간에 너무 많은 시간을 자게 되면 아기가 깨어있어야 할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충분히 깨어 있지 못했던 아기는 밤잠 중간에 깨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깨우실 때는 갑자기 흔들어 깨우지 마시고, 부드럽게 마사지하며 천천히 깨워주세요. 엄마의 목소리나, 창가의 햇빛을 쬐어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육아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1월부터 지급되는 부모급여 파헤치기 (0) | 2022.12.13 |
---|---|
아기 썬크림 언제부터 발라야 하나요? (0) | 2022.11.21 |
아기 약먹이는 방법, 아기가 약먹고 토하면? (0) | 2022.11.18 |
아기 칫솔질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0) | 2022.11.17 |
아기는 모두 언어천재! 돌아기 영어 언제부터? (0) | 2022.11.15 |
댓글